
arrow function
function 함수(){
} // 일반 함수 선언
let 함수 = () => {
} // arrow 함수 선언
우선 함수 선언 방법은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일반 함수
2. arrow 함수
=>의 뜻은 function이랑 같음.
function type-alias
type 함수타입 = (a :number) => number;
함수의 타입을 저장하기 위한 선언방법 <arrow function 활용>
=> type 함수타입명 = (파라미터 : 타입) => 리턴타입
let 함수 : 함수타입 = function (a) {
return a+1
}
선언한 타입함수를 사용해 보자.
=> let 함수명 : 함수타입명 = function(파라미터) {리턴 값}
이렇게 let을 사용하여 변수처럼 함수에도 type-alias를 적용할 수 있다.
function 함수명 : 함수타입명() { } //에러 발생
function 키워드로는 선언 못하는 이유
=> function 키워드는 ( ) 왼쪽으로는 타입지정이 불가능하므로.
methods type-alias
type Member = {
name : string,
age : number,
}
간단하게 타입변수를 저장해 주고
let 회원정보 : Member= {
name : 'hong',
age : 30,
}
let 메서드에 타입을 설정하면 된다.
응용 편 (function + methods) alias
type Member = {
name : string,
age : number,
plusOne : (x: number) => number,
changeName : () => void
}
일반 타입변수뿐만이 아닌 함수타입변수도 저장한다.
let 회원정보 : Member= {
name : 'hong',
age : 30,
plusOne(x){
return x+1
},
changeName : () => {
console.log('안녕')
}
}
let 메서드명 : 타입함수명 = { }
=> 메서드에 저장했던 타입변수를 설정하여 내부함수를 작성할 수도 있다.
callBack() 함수 사용법
function 함수1(x){
x()
}
function 함수2(){
}
함수1(함수2)
함수 1에 파라미터 값을 전달하여 함수 2를 부르는 방법으로 callBack 함수라고 부른다.
또한, 자기 자신을 파라미터 값으로 전달한다면 재귀함수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arrow함수 사용법은 react를 통해 충분히 숙지했지만, type까지 응용을 해야 하니 점점 복잡해지는 것 같다..
알아도 써먹지를 못할 것 같은 느낌?!
좋은 타입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인라인으로 타입을 지정하는 내 미래가 보일 듯싶다,,, 흑
'Type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parameter , spread operator, destructuring 타입지정 (0) | 2023.07.03 |
---|---|
interface vs type (0) | 2023.07.03 |
Literal Types (0) | 2023.07.03 |
타입 정의가 길고 복잡하다면 type alias & readonly (0) | 2023.07.02 |
타입 확정하기 (Narrowing & Assertion) (0) | 2023.07.02 |

arrow function
function 함수(){
} // 일반 함수 선언
let 함수 = () => {
} // arrow 함수 선언
우선 함수 선언 방법은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일반 함수
2. arrow 함수
=>의 뜻은 function이랑 같음.
function type-alias
type 함수타입 = (a :number) => number;
함수의 타입을 저장하기 위한 선언방법 <arrow function 활용>
=> type 함수타입명 = (파라미터 : 타입) => 리턴타입
let 함수 : 함수타입 = function (a) {
return a+1
}
선언한 타입함수를 사용해 보자.
=> let 함수명 : 함수타입명 = function(파라미터) {리턴 값}
이렇게 let을 사용하여 변수처럼 함수에도 type-alias를 적용할 수 있다.
function 함수명 : 함수타입명() { } //에러 발생
function 키워드로는 선언 못하는 이유
=> function 키워드는 ( ) 왼쪽으로는 타입지정이 불가능하므로.
methods type-alias
type Member = {
name : string,
age : number,
}
간단하게 타입변수를 저장해 주고
let 회원정보 : Member= {
name : 'hong',
age : 30,
}
let 메서드에 타입을 설정하면 된다.
응용 편 (function + methods) alias
type Member = {
name : string,
age : number,
plusOne : (x: number) => number,
changeName : () => void
}
일반 타입변수뿐만이 아닌 함수타입변수도 저장한다.
let 회원정보 : Member= {
name : 'hong',
age : 30,
plusOne(x){
return x+1
},
changeName : () => {
console.log('안녕')
}
}
let 메서드명 : 타입함수명 = { }
=> 메서드에 저장했던 타입변수를 설정하여 내부함수를 작성할 수도 있다.
callBack() 함수 사용법
function 함수1(x){
x()
}
function 함수2(){
}
함수1(함수2)
함수 1에 파라미터 값을 전달하여 함수 2를 부르는 방법으로 callBack 함수라고 부른다.
또한, 자기 자신을 파라미터 값으로 전달한다면 재귀함수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arrow함수 사용법은 react를 통해 충분히 숙지했지만, type까지 응용을 해야 하니 점점 복잡해지는 것 같다..
알아도 써먹지를 못할 것 같은 느낌?!
좋은 타입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인라인으로 타입을 지정하는 내 미래가 보일 듯싶다,,, 흑
'Type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parameter , spread operator, destructuring 타입지정 (0) | 2023.07.03 |
---|---|
interface vs type (0) | 2023.07.03 |
Literal Types (0) | 2023.07.03 |
타입 정의가 길고 복잡하다면 type alias & readonly (0) | 2023.07.02 |
타입 확정하기 (Narrowing & Assertion) (0) | 202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