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미터

TypeScript

타입을 파라미터로 입력하려면? Generic 문법

함수 return값의 타입정하기 function 함수(x: unknown[]) { return x[0]; } let a = 함수([4,2]) console.log(a+1) //에러 발생 unknown타입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계산식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모습 1. narrowing 적절히 해서 에러 없애기 2. 가변적 타입 지정하기 => Generic 문법 Generic 적용하기 function 함수(x: T[]):T { return x[0] } let a = 함수([4,2]) let b = 함수(['4','2']) 1. 함수명 오른쪽의 안에 사용자정의 제네릭명을 임의로 입력. 2. 파라미터에 제네릭명 입력 => array의 경우 [ ] 포함 3. return 타입도 제네릭으로 지정가능 4. 함수를 ..

TypeScript

함수에 타입 지정하는 법

일반적인 함수 사용법 function 함수(x){ return x * 2 } 함수(2); (x) = 파라미터 return = 리턴 값 타입스크립트 함수 사용법 function 함수(x :number) :number { return x * 2 } x:타입 = 파라미터 타입 : 우측 타입 = return 타입 void 타입 function 함수(x :number) :void { return x * 2 //에러 발생 } void = return 할 자료가 없는 경우 사용 return 키워드를 지워야 함. function 함수(x :number) { x * 2 } : void를 생략해도 void 타입으로 오토캐스팅됨. 파라미터가 옵션인 경우 function 함수(x? :number) { } 함수(); //가능 ..

www.seok.com
'파라미터' 태그의 글 목록